본문 바로가기
  • JuanJo's Curiosity
반응형

전체 글101

주역의 지혜 - 중요한 것은 꺾이지 않는 마음 '정하다'는 개념이 역경에서 그토록 중요하니 여기서 살펴보기로 하자.  ...貞(정)은 '곧다, 지조가 굳다, 마음이 곧바르다, 점치다'의 뜻을 가진 글자다.  자형을 보면 卜과 貝으로 이루어졌는데, 卜(점치다 복)은 은나라의 점인들이 갑골점을 칠 때 하늘의 계시가 갑골등에 갈라진 금의 형태로 나타나던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다.  貝은 하늘의 계시를 내려받던 신성한 제기(祭器)인 '鼎(정)'의 생략형이다.결국 두 글자가 합쳐진 貞은 신성한 제기에 하늘의 계시를 내려받는 모습을 형상화한 글자이며, 이를 통해 하늘의 계시를 대하는 사람의 마음자세가 '곧다, 지조가 굳다, 마음이 곧바르다'는 뜻을 나타내는 글자인 것이다. 그에 따라 역경에서 '정(貞)하다'는 표현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꺾이지 않고 처음에 품었던.. 2024. 7. 13.
마케팅 구루, 세스 고딘이 말하는 TV 광고의 종말 세븐업이나 내이션와이드 인슈어런스, 알카셀처, 타이드 같은 브랜드의 가치가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 그 답은 바로 40년이 넘도록 텔레비전 광고가 지나치게 저렴했기 때문이다. 텔레비전은 대중을 마케터에게 데려다 주었다. 광고를 많이 사들이면 신뢰도 살 수 있었다. 신뢰와 슈퍼마켓의 선반을 동시에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런 모든 조합은 오늘의 판매뿐 아니라 내일의 판매까지 선사했다. 지난 3세대 동안 텔레비전은 광고주에게 청구한 비용보다 훨씬 더 높은 가치를 만들어 냈다. 광고는 썩 훌륭하지 않아도, 적당히 무난해도 괜찮았다. 브랜드 기업은 무조건 광고를 많이 하기만 하면 되었다. 그런데 놀라운 건 이를 이해하는 마케터가 많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래서 최고급 브랜드 수는 생각보다 훨씬 적었다. 쓸 수 있.. 2024. 3. 7.
호주를 식민지로 지배한 백인들의 신화와 거짓말 19세기 전반에 태즈메이니아 섬에서 일어난 사건은 흔히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서 발생한 유일한 제노사이드인 것처럼 이야기된다. 그러나 규모는 작지만 이와 비슷한 참사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곳곳에서 벌어졌다. 태즈메이니아의 제노사이드는 우발적인 경우나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 영국인들이 지금의 오스트레일리아를 식민화하는 과정에서 흔하게 발생했던 일반적 현상의 하나였다. ... 더 나아가 이 사건은 유럽인들의 식민지 개척 과정에서 일어난 수 많은 영토 침탈형 제노사이드의 대표적 사례로 이해되어야 한다. 태즈메이니아의 비극은 백인들의 인종주의와 개척 의지가 유럽 이외의 지역에서 만날 때 어떤 결과가 생겨날 수 있는지를 가장 극단적으로 보여주는 사건이다. 태즈메이니아 원주민들을 절멸에 이르게 한 가장 근본적인 동.. 2024. 2. 27.
박물관 유물 이름이 너무 어렵다고요? 태명을 뭐라고 불렀든 태어난 아이의 출생신고를 할 때 평생 함께 할 이름을 새로 짓는다. 더불어 출생 일시와 장소도 신고한다. 출생신고를 마쳐야 국민으로 인정하는 주민등록번호가 나온다. 유물도 사람과 비슷하다. 박물관으로 오면 새로운 이름, 즉 박물관의 이름 짓는 방식에 따라 공식적인 이름과 일련번호를 받는다. 일련번호는 박물관의 자체 분류기준에 따르는데, 유물의 나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고 박물관에 들어온 순서이다. 이 일련번호는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처럼 고유한 번호이다. 사람들은 주민등록증을 가지고 다니지만, 유물은 아예 자기 몸에 유물 번호를 지닌다. 일종의 문신이다. ... 그런데 유물이 세트로 구성되었을 경우에는 어떻게 번호를 부여할까? 만약 세 점이 한 세트로 이루어졌다면 첫 번째는 ㅇㅇㅇㅇ(3.. 2024. 2. 18.
고구려 사람들이 백자를 썼다고? - 미술사 전공자의 수난 동료의 집에 처음 놀러 간 날, 갑자기 같은 상황이 펼쳐졌다. 동료가 나를 가리키며 "이 언니는 도자사를 전공했어" 하고 소개하자마자, 그의 아버지가 반색을 하며 안방에서 조그만 항아리 하나를 꺼내 오셨다. 그러고는 아주 신이 난 목소리로 이야기를 시작하셨다. "도자기를 공부했으면, 이게 언제 만들어졌는지도 알아요? 이 항아리는 내가 아주 어릴 때부터 우리 어머니 방에 놓여 있었던 거라고." 둥글납작한 형태에, 항아리 어깨에는 팬지처럼 생긴 파란 꽃이 그려진 백자였다. 20세기 전반에 무척 많이 만들어진 디자인이라, 지금도 골동품상을 지나다 보면 선반에 하나씩은 올려져 있는 비교적 흔한 물건이다. 물끄러미 항아리를 바라보고 있는 내게 재차 질문이 쏟아졌다. "어때요, 만약에 판다면 얼마 정도 받을 수 있.. 2024. 2. 17.
하루끼가 사랑한 싱글몰트 위스키의 고향 - 아일레이 섬 ... 일반적으로 아일레이[아일라 Islay] 섬의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린 것은 은둔적인 풍토風土도 아니고, 서식하는 새나 짐승의 숫자나 종류의 다양함도 아니다. 아일레이섬은 그곳에서 증류되는 위스키의 뛰어난 맛으로 유명하다. 쿠바가 시가로, 디트로이트가 자동차로, 애너하임이 디즈니랜드로 유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 사실 내가 스코틀랜드의 한 귀퉁이에 있는 이 외진 섬까지 힘들게 찾아온 것도, 그 고명한 싱글 몰트 위스키를 맛보기 위해서였다.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성지순례' 같은 거 라고나 할까? 왜 스코틀랜드의 많은 섬 가운데 이 조그만 아일레이섬이 싱글 몰트 위스키의 '성지'가 되었으며, 그 얼마 안 되는 인구가 어떻게 대영제국 세입의 많은 부분을 벌어들이게 되었는가에 관해서는 이렇다 할 정.. 2024. 2. 16.
영화 <남산의 부장들> 원작은 신문기자의 취재기사였다. '쓰는 사람'으로서 기자가 작가와 다른 점이 있다면 그건 '쓰는 대상'에 있다. 작가는 상상의 세계를 축조하는 반면 기자는 사실 면면을 보고 듣고 경험해 기록한다. 기자들에겐 종종 '쉽게 쓰라'는 말이 격언처럼 통용된다. 문장의 맵시보단 사실을 중시하기 때문일 것이다. 윤색이나 각색을 더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보존하는 것이 기자의 의무일지 모른다. 사실은 기자의 취재를 통해 완성된다. 취재의 난도를 평가하는 기준은 없다. 하지만 직관적으로 안다. 어떤 정보는 쉽게 얻을 수 있고 어떤 정보는 알아내기 어렵다. 민간인은 접근하기 힘든 권력기관 내부에서 일어난 일이라면 어떨까. 그것도 서슬 퍼런 군사독재 시절 음험한 공작 정치가 자행되던 정보기관에서 벌어진 비화 같은 것이라면 말이다. 상술한 기준으로.. 2024. 2. 15.
화가 박수근의 고향, 양구에 세워진 박수근미술관 최근 한국 화가들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제가 이 원고를 쓴 시기이기도 한 2021년 말부터 네 달간 국립현대미술관에서 '박수근 : 봄을 기다리는 나목' 전시를 진행했는데요, 다해서 10만 명이 넘는 관람객이 다녀갔다고 합니다. 당장 어떤 전시가 흥행하는지 궁금하다면 인스타그램에 전시 태그들을 검색하면 어느 흥행 여부를 가늠할 수 있습니다. ... 글을 쓰는 저는 오히려 때를 노려 조용한 [강원도] 양구의 박수근미술관을 다녀왔습니다. … 박수근미술관은 아무래도 서울에서 거리가 좀 되다 보니, 평일엔 소란스럽지 않습니다. 그렇게 출근 시간을 살짝 피해서 출발했습니다. 홀로 조용한 하루를 보내고 싶다면 저처럼 혼자 미술관에 가보세요. '호캉스'는 체력을 충전하는 데 그만이지만, '미캉스'는 마음을.. 2024. 2. 14.
김승호 회장이 말하는 돈에 대한 4가지 능력 경제활동을 하는 모든 사람은 돈에 있어 네 가지 능력에 따라 자산이 늘어난다. 이 중에 하나만 갖고 있는 사람도 있고, 넷을 모두 갖고 있는 사람도 있다. 이 능력은 돈을 버는 능력, 모으는 능력, 유지하는 능력, 쓰는 능력으로 나뉜다. 돈을 버는 능력을 가진 사람을 부자라 부르지만 부자가 부를 유지하려면 이 네 가지 능력을 모두 갖추고 있어야 한다. 이 능력 중에 하나라도 있으면 부자가 될 수 있다. 그러나 부를 계속 유지할 수는 없다. 그리고 이 능력은 각기 다른 능력이다. 그러니 각기 다른 방식으로 배워야 한다. 돈을 버는 능력을 가진 사람들은 우리 눈에 쉽게 보인다. 이 능력은 밖으로 드러나 보이기 때문이다. 이 능력을 가진 사람은 대부분 진취적이고 사업에 능통하며 세일즈를 잘하는 유능한 사람이다.. 2024. 2. 13.
유현준 교수가 말하는 건축과 권력의 관계 돔은 예부터 교회나 왕 같은 종교적 혹은 정치적 권력을 상징하기 위한 건축적 요소였다. 이유는 돔 건축에 엄청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돔을 건축하기 위해서는 돔 모양으로 나무틀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 그 나무 구조체 위에 콘크리트나 돌로 돔을 쌓아 올리고 공사가 완료되면 나무틀 구조체를 철거한다. 이렇게 비용이 들다 보니 당대 사회의 최고 권력자가 아니면 가질수 없는 건축 공간이 돔이었다. 돔의 도시로 유명한 로마에는 '판테온'의 돔과 '성베드로 성당'의 돔이 있는데, 고대 로마의 황제나 르네상스 시대 교황 같은 당대 최고 권력자들을 상징하는 공간이다. 이후 시대가 바뀌었으나 돔은 계속해서 국회의사당 같은 권력을 상징하는 건축물에 사용되었다. 여의도의 '대한민국 국회의사당’에도 돔.. 2024. 2. 12.
이백(李白)의 대표적인 송별시 - 벗을 보내며 벗을 보내며 送友人 詩: 이백 李白 푸른 산은 성 북쪽으로 비껴 있고 하얀 물은 성 동쪽으로 돌아 흐른다. 이제 헤어지면 그대는 정처 없이 홀로 만리 길 가리. 뜬구름은 나그네의 마음이요 지는 해는 벗의 심정이라. 손 흔들며 떠나가니 짝 잃은 말도 히이잉 우네. 靑山橫北郭(청산횡북곽) 白水繞東城(백수요동성) 此地一爲別(차지일위별) 孤蓬萬里程(고봉*만리정) 浮雲遊子意(부운유자의) 落日故人情(낙일고인정) 揮手自玆去(휘수자자거) 蕭蕭班馬鳴(소소반마*명) * 孤蓬(고봉) : 뿌리뽑힌 다북쑥은 바람 부는 대로 이리저리 굴러다니므로 흔히 홀로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는 사람을 비유한다. 여기서는 떠나가는 친구를 의미. * 班馬(반마) : 대열에서 떨어진 말 송별시의 새로운 정취를 열었다고 평해지는 시이다. 푸른 산, 맑.. 2024. 2. 11.
우리나라 최초로 자체 개발한 훈련기, KT-1 1988년, 개발기간 4년, 시제기 2대 생산을 목표로 KTX-1 탐색개발이 시작되면서 연구팀은 항공기 사업본부 안에 사업책임자 강위훈 본부장, 체계실장 안동만 박사를 중심으로 한 34명의 연구원을 갖추고 본격적인 개발단계에 들어서게 되었다. ... 한편 한국이 훈련기를 개발한다는 소문이 퍼지자 세계 유수의 항공기 제작업체에서 한국의 훈련기 시장을 겨냥하여 공동개발 의사를 타진해 오기 시작했다. T-34C 터보 멘터 (Turbo Mentor)를 개발한 미국의 비치크래프트(Beechcraft)사, EMB-312 투카노(Tucano)를 개발, 생산중인 브라질 엠브레어(Embraer)사 등이 그들이었다. 그중에서도 가장 열성적인 업체는 스위스 필라투스(Pilatus)사였다. 이미 PC-7, PC-9 시리즈로 .. 2024. 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