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음식, 요리, 맛집5 하루끼가 사랑한 싱글몰트 위스키의 고향 - 아일레이 섬 ... 일반적으로 아일레이[아일라 Islay] 섬의 이름을 세상에 널리 알린 것은 은둔적인 풍토風土도 아니고, 서식하는 새나 짐승의 숫자나 종류의 다양함도 아니다. 아일레이섬은 그곳에서 증류되는 위스키의 뛰어난 맛으로 유명하다. 쿠바가 시가로, 디트로이트가 자동차로, 애너하임이 디즈니랜드로 유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 사실 내가 스코틀랜드의 한 귀퉁이에 있는 이 외진 섬까지 힘들게 찾아온 것도, 그 고명한 싱글 몰트 위스키를 맛보기 위해서였다. 좀 과장해서 말하자면, '성지순례' 같은 거 라고나 할까? 왜 스코틀랜드의 많은 섬 가운데 이 조그만 아일레이섬이 싱글 몰트 위스키의 '성지'가 되었으며, 그 얼마 안 되는 인구가 어떻게 대영제국 세입의 많은 부분을 벌어들이게 되었는가에 관해서는 이렇다 할 정.. 2024. 2. 16. 와인과 빵의 두 얼굴과 종교적 의미 그리스와 마찬가지로, 프랑스에서도 포도주는 종교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특히 적포도주의 선명한 빛깔은 인간의 피와 생명에 대한 신성성을 그대로 상징한다. 포도주는 종교축제와도 깊은 관계가 있다. 기독교 문화를 설명하기 전에, 우선 포도주 축제의 대명사인 바쿠스제[Bacchanalia]를 알아보기로 한다. 로마시대에 이르러 그리스의 주신 디오니소스는 바쿠스로 바뀌게 된다. 그러나 로마 초기에 바쿠스의 숭배는 풍기문란을 이유로 국가적으로 금지되었다. 늑대 젖을 먹고 자라났다는 레무스와 로물루스의 건국신화에서도 우리가 알 수 있듯이, 로마인의 주요 음료는 사실상 우유였다. 초기 로마인은 술 마시는 것이 금지되어 있었다. 부인이 몰래 음주를 하는 경우 이혼사유가 되거나, 심지어 죽일 수도 있었다. ... 초기 .. 2024. 2. 6. 베트남 쌀국수의 기원에 대한 설과 남북 맛 차이 쌀국수의 고향이 하노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많지 않다. 100년 남짓, 유명세에 비해 역사가 짧다는 것도 마찬가지다. ... 쌀국수는 쌀가루를 이용해 만든 국수로, 촉촉한 면발에 육수와 각종 향채를 넣어 후루룩 간편하게 먹는 요리를 말한다. 우리는 밀가루로 된 면 요리가 많은 반면 베트남은 쌀을 이용한 면 요리가 발달했는데, 이는 기후 환경과 관계가 있다. 베트남은 쌀을 재배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지닌 곳으로 1년에 최대 3모작이 가능하다 덕분에 쌀이 흔하고 이를 활용한 요리도 다양한 편이다. 퍼(Phở)라고 부르는 쌀국수도 그 중 하나다. * 쌀국수 탄생의 세가지 설 첫째로는19세기 말 하노이 근교 남딘(Nam Dinh)에서 공장 노동자들이 국수에 국물을 말아먹던 것이 지금의 쌀국수의 시초라.. 2024. 1. 25. 힘들어서 술 마셨니? 힘내! 술을 매우 사랑하고 자주 마시지만 주사[酒邪]는 거의 없다. ... 주사를 경계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사의 경계를 정하는 것도 중요한 문제다. 사회인으로서 공사 구분만큼 철저히 해야 하는 것이 주사 구분이다. 술꾼들끼리 취했다, 안 취했다 티격태격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어디까지를 주벽 또는 술버릇으로 보고 어디까지를 주사로 볼 것인가는 술꾼들 사이에도 의견이 분분하다. 사전을 빌려보면 주사를 '술 마신 뒤에 버릇으로 하는 못된 언행'이라고 하는데, 일상에서 쓰는 '주사'의 용례에 비해 지나치게 협소하다. 나에게 있어 '주사'란, 그 행위로 인해 타인에게 '얼토당토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이다. 주사 분류법을 설명하기 위해 몇 가지 예를 들어 보겠다. ... 몇 주 전에는 [술에 취해] 슈퍼에 들어가서.. 2022. 8. 26. 파스타의 역사 파스타도 이탈리아 음식의 일부였던 역사는 오래지만, 지금처럼 지배적인 위치를 차지하게 된 것은 꽤 최근의 일이다. 가장 오래된 형태의 파스타는 라쟈냐로 고대 로마에서도 즐겼다고 알려져 있으나 요즘 조리하는 방식과는 달랐다. 한편 건조 파스타는 따로 발명되었다. 북아프리카에서 사막을 건너다니던 대상이 여행을 위한 장기 보관용으로 고안했다. 이것을 아마도 무슬림 정복자들이 시칠리아로 가져왔을 것이다. 1154년에 발간된 고문서에서 모로코 출신의 지리학자 겸 식물학자 알 이드리시는 팔레르모 부근에서 파스타 제조 산업이 번성하고 있으며, 여기서 생산한 파스타를 무슬림 국가와 기독교 국가 양편에 수출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 중에는 '이트리야itrija'라고 부르던 줄처럼 생긴 긴 파스타가 있었다. 건조한 파스타.. 2022. 8. 6. 이전 1 다음 반응형